주요 콘텐츠 바로가기

2025 지속가능성 5대 핵심 트렌드

Bridge, Beyond, Business

딜로이트는 APEC CEO Summit Korea 2025의 공식 지식 파트너로서 APEC 회의에 심도 있는 인사이트를 공유하고, 아시아태평양 지역 경제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 실행 가능한 전략 수립을 적극 지원합니다. 

2025년 딜로이트가 주목한 지속가능성 5대 핵심 트렌드

딜로이트는 지난 1년간 지속가능성 트렌드의 흐름을 조망하였으며, 기업 경영에 의미 있는 지속가능성 트렌드 5가지를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1. 지속가능 소비 – 기후 인식 고조,소비 행동으로 확산

딜로이트 컨슈머시그널(ConsumerSignal) 설문조사에 따르면 전 세계 소비자의 67%가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체감하고 있으며 59%가 이에 대응하기 위해 소비 습관과 행동을 바꾸고 있습니다.

<Insight Reports>

기후 변화는 소비자들의 일상, 감정,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소가 되었습니다. 이러한 인식의 중대한 변화로 기업들이 전략과 행동을 바꾸고 있습니다. 앞으로의 기업 경쟁력은 이 위기에 얼마나 깊이 공감하고 결단력 있게 행동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2. 순환경제 – 비용 절감 넘어 경쟁 전략으로

자원 비용 상승, 공급망 리스크, ESG 규제 강화에 대응하기 위해 기업들은 순환경제를 단순한 환경 이슈가 아닌 비즈니스 경쟁력 확보 수단으로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Insights Reports>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서는 자원을 다시 쓰고 오래 쓰는 순환적 방식이 확산되어야 하며, 생산과 소비 전반을 재설계해 순환경제로의 근본적 전환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ESG 경영을 강화하려는 기업에게 순환경제는 자원 비용 절감, 공급망 리스크 및 규제 대응 측면에서 실질적인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전략적 선택지입니다.

3. 에너지 전환 – 청정에너지 전환, 수소가 이끈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청정 수소는 탄소중립을 실현할 핵심 에너지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경제성, 지속가능성, 기술 경쟁력을 갖춘 수소는 에너지 전환의 중심축이 되고 있습니다.

<Insights Reports>

아시아 태평양 수소 시장은 넷제로 달성의 핵심 동력으로, 2050년까지 수소 수요가 급증할 전망입니다. 이 지역은 전 세계 수소 시장의 절반 가까이를 차지하며, 1조 2천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장기적 시장 안정과 성장을 위해서는 지정학적 안정성 확보와 국제 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점입니다.

4. 글로벌 규제 대응 – 글로벌 ESG 규제, ‘부담’에서 ‘전략’으로

EU를 중심으로 ESG 관련 규제가 고도화되면서, 규제 대응은 단순한 준수 차원을 넘어 사업 전략과 경쟁력 강화의 핵심 과제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Insights Reports>

EU는 지속가능성을 경제 경쟁력의 핵심으로 재정의하며, 에너지 전환, 규제 완화, 자금 조달을 중심으로 정책을 재편하고 있습니다. 정치·지정학적 불확실성 속에서 기업들은 회복탄력성과 민첩성을 갖춘 전략으로 변화에 대응해야 하며, 한국 기업들 또한 공급망과 데이터 중심의 대응 체계를 강화해야 합니다.

5. AI 기반 ESG 데이터 분석 – 전략 실행의 핵심 수단

ESG 데이터의 수집, 분석, 공시가 고도화되면서 기업들은 AI 기반 기술 솔루션을 활용해 지속가능성 전략을 더 정교하게 설계·추적·실행하고 있습니다.

<Insights Reports>

경기 불확실성 속에서도 전 세계 조사 대상 기업 경영진의 83%가 지속가능성 관련 투자를 확대하는 등, 지속가능성이 경영의 핵심 의제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또한 응답 기업의 31%가 지속가능성 목표 달성에 인공지능(AI)를 활용하는 등 기술 기반의 ESG 실천 추세가 확산중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메일로 인사이트를 받아보시려면 아래 주소로 이메일 주소를 기재하여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E-mail: krinsightsend@deloitte.com

유용한 정보가 있으신가요?

의견을 보내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