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콘텐츠 바로가기

‘트럼프 라운드 시대'의 기업의 생존 전략

미국 관세 부과 및 세법 개정 영향과 대응 방안 재점검

세계 경제는 자유무역을 근간으로 세계무역기구(WTO) 체제에서 트럼프 정부의 보호무역주의적 조치들로 둘러 싸인 관리무역 시대, 이른바 ‘트럼프 라운드’(Trump Round) 시대로 접어들었습니다. 또한 ‘하나의 크고 아름다운 법’(One Big Beautiful Bill Act, OBBBA)이 정식 발효됨에 따라 친환경 및 반도체 산업 관련 지출예산 및 세액 공제가 조정되었습니다. 이로써 앞으로 동맹국 중심 공급망 재편이 이루어지면서 한국 기업의 수출, 현지법인 운영 및 투자, 공급망 설계 등에 근본적인 충격을 줄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 정부는 미국과 무역협상을 통해 상호관세율을 15%로 확정하고 품목별 관세 중에서 자동차에 대한 관세도 15%로 낮추는 한편, 대미국 3,500억 달러 투자와 1,000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에너지 구매 그리고 자동차 및 트럭, 농산물 시장의 추가 개방을 약속했습니다. 거래주의적 접근방식의 트럼프 행정부의 행보로 볼 때 앞으로 세부 협상 과정에서 많은 불확실성에 직면하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처럼 근본적으로 변화하는 무역 및 조세 환경 속에서 기업들은 특정 함량(철강, 알루미늄, 구리, 미국산자동차부품)의 수입신고가격 평가부터 시작해 조직 운영, 잠재적인 공급망 재구축, 전반적인 투자 전략에 이르기까지 모든 영향을 받는 부분에 대해 빠르고 효과적인 대응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위해 AI시대로 실현 가능해진 ‘실시간 기업(RTE: real-time enterprise)’의 필요성이 대두됩니다. 자재 소요량 명세서에 원산지, HS코드, 벤더, 특허, 첨단반도체 및 레거시 반도체 여부, 탄소배출량 등의 정보를 추가하고, 벤더 정보에도 ESG 관련 정보와 아동노동착취, 생산공장 위치, 분쟁 및 핵심광물 사용 여부 등의 정보를 추가하여 각국의 규제환경에 대비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어야 합니다.

나아가 생산지-소비지 조합별 수익성 요소들을 실시간으로 반영하여 글로벌 생산판매를 최적 배분할 수 있습니다.

이번 보고서가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정책이 관세, 법인세, 국제 조세에 미치는 영향을 점검하고 대응 전략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한국 딜로이트 그룹 전문가]

통상&디지털 통합서비스 그룹 (One Trade Advisory)

딜로이트의 One Trade Advisory(국제통상 통합서비스그룹)는 트럼프 2기 행정부의 통상 정책 변화와 글로벌 무역환경 변화에 대응해야 하는 국내 기업들에게 자문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설립되었습니다. One Trade Advisory는 반덤핑, 관세, 이전가격, 국제조세 및 공급망 재편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문적 지식과 업무경험을 통해 기업이 국제통상 질서 변화에 대한 최적의 대응방안을 도출할 수 있도록 다각도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통상&디지털 통합서비스 그룹 리더 ✉️ doobae@deloitte.com

국제통상자문 리더 ✉️jonshim@deloitte.com

관세자문 리더 ✉️jyou@deloitte.com

유용한 정보가 있으신가요?

의견을 보내 주셔서 감사합니다

Our Think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