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콘텐츠 바로가기

딜로이트 안진, 감사 플랫폼 ‘옴니아’에 생성형AI·에이전틱 AI 도입…AI 기반 감사 혁신 가속

AI 기반 감사 혁신으로 높은 수준의 감사 품질 제공 목표

생성형 AI 기반 문서 검토·초안 작성 자동화 지원으로 감사 효율성 향상

에이전틱AI 기능도 도입…다른 에이전트와 협업하는 ‘디지털 전문가’ 역할 가능

2025년 8월 7일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대표이사 홍종성, 이하 딜로이트 안진)은 딜로이트의 글로벌 클라우드 기반 감사 플랫폼 ‘옴니아(Omnia)’에 생성형 AI(Gen AI)와 에이전틱 AI(Agentic AI) 기능을 도입했다고 밝혔다.

이번 AI 기능 도입은 복잡해지는 비즈니스 환경 속에서 AI 기반 감사 혁신을 통해 높은 수준의 감사 품질을 지속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전략적 조치다.

딜로이트 안진은 생성형 AI 도입으로 옴니아 플랫폼을 활용한 감사 프로세스의 효율성을 크게 높였다. 옴니아 플랫폼에 적용된 생성형 AI는 감사 문서의 초기 검토를 수행하여 명확성과 논리적 일관성을 위한 개선사항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감사인은 초안 재무제표를 기반으로 필요한 정보를 빠르게 검색할 수 있고, 자연어 질의를 통한 세부 내용 탐색으로 자료 간 정합성을 확인하는 절차를 보다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생성형 AI는 여러 문서에 흩어진 정보를 요약·분석해 풍부한 인사이트를 제공한다. 감사 관련 조서와 재무제표 주석의 초안 작성도 지원한다. 감사 및 회계 리서치 플랫폼에 통합된 AI 기능은 복잡한 회계 이슈에 대해 신속한 해석과 종합적 가이드를 제공해 감사인이 새로운 인사이트를 도출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아울러 딜로이트는 외부 데이터 기반의 리스크 요인을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잠재적 감사 위험을 조기에 감지할 수 있는 기술도 개발하고 있다.

나아가 지능형 에이전트 기능도 옴니아 플랫폼 생태계에 통합되고 있다. AI 에이전트는 특정 업무를 수행하고 관련 정보를 기억하거나 다른 에이전트와 협업하는 등 ‘디지털 전문가’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AI 기능은 모두 딜로이트의 ‘신뢰할 수 있는 AI(Trustworthy AI™) 프레임워크’에 기반해 개발됐다. 이 프레임워크는 AI의 기획·설계 단계부터 배포, 운영, 모니터링, 관리의 전 과정을 아우르며, 투명성과 책임성을 중심에 둔 관리체계를 지원한다.

옴니아 플랫폼은 2015년 출시된 이후 지속적인 기술 고도화를 거듭하며 높은 수준의 감사 경험을 제공하는 데 활용되고 있다. 지난해에는 ‘International Accounting Forum and Awards’에서 ‘올해의 AI 혁신 이니셔티브(AI Innovation Initiative of the Year)’ 상을 수상한 바 있다.

장수재 딜로이트 안진 회계감사부문 대표는 “AI는 전 세계 감사 업무에 혁신을 가져오며, 지금까지와는 차원이 다른 혁신과 전환의 기회를 열고 있다”며, “딜로이트 안진은 감사 전문가들이 역량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기술 혁신과 지원을 통해 높은 수준의 감사 품질을 제공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딜로이트는 전사적 AI 활용도 적극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전 세계 8만 5천여 명의 딜로이트 회계감사 전문가들이 업무에 활용할 수 있는 대규모 언어모델(LLM)과 특화 챗봇을 도입했다. 딜로이트의 감사 전문가들은 전 직원이 사용할 수 있는 생성형 AI 챗봇을 적극 활용하고 있으며, 해당 챗봇은 도입 첫해에만 300만 건 이상의 AI 프롬프트를 처리했다.

딜로이트는 외부 AI 기술 서비스도 확대하고 있다. 최근에는 ‘글로벌 에이전틱 네트워크(Global Agentic Network)’ 이니셔티브도 발표해 전세계 기업들이 에이전틱 AI를 보다 손쉽게 도입하고 확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옴니아 플랫폼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