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Deloitte Newsletter (제 42호)

(2월, 2020년)

'Deloitte Newsletter'는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과 딜로이트 컨설팅이 고객에게 업계와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전달할 목적으로 제작하고 있습니다. 아래의 각 링크를 통하여 자세한 내용을 볼 수 있으며, 수록된 내용에 대한 문의나 서비스를 원하는 경우에는 딜로이트의 전문가와 상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정기적으로 발송되는 본 뉴스레터의 수신을 원하시는 경우 cokr@deloitte.com 으로 신청 메일을 보내주시기 바라며, 이는 뉴스레터 수신 및 개인정보 수집에 동의하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수집되는 정보(이메일 서명-이름, 회사, 부서정보, 직책, 이메일 주소, 연락처)는 정기적인 뉴스레터 수신에 사용되고 동의 철회 시 까지 보유 됩니다.

Deloitte Masters Group

한국 딜로이트그룹의 전문가를 소개합니다.

로봇시대, 누가 살아남고 누가 죽는가?

| by 조명수 파트너
| Risk Advisory - Digital Finance
>> 영상보기

Focus on

경제·산업·비즈니스 트렌드와 이슈에 대한 딜로이트의 인사이트를 제공해드립니다.
 

리스크 기반 경영관리

| by 함형준 이사   
Assurance-FS

지난 수년간 보험산업의 화두는 단연 IFRS17의 도입과 그 대응 방안이었습니다. 시가평가를 기반으로 하는 회계 공시 기준의 일대 변혁으로 간주되는 이 변화의 파도는 이제 건전성 감독 기준의 혁신으로 또다시 새로운 국면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이런 변화의 중심에 자본관리의 중요성이 그 핵심적인 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바, 본고에서는 리스크기반 경영이란 무엇이며 이를 구현하는 프레임워크의 개요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합니다.

>> 전문 보기

테크기업 인수 후 기업가치 증대하기

| by 안종식 이사
Risk Advisory

“우리가 어떤 민족입니까”라는 광고로 유명한 ‘배달의 민족’ 앱을 출시한 ‘우아한 형제들’이 이달 독일계 글로벌 배달 서비스 기업 DH에 매각됐습다. 전통적으로 테크 기업들은 매출 성장, 기술 자산, 지적재산권 확보를 위해 M&A를 하기도 하지만 최근에는 새로운 시장에 진출해 자사의 고객 기반을 확대하기 위해서 M&A를 활용하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습니다. 본고에서는 글로벌 M&A 및 사모펀드 시장 동향을 살피고 주주가치 극대화를 위한 기업가치 제고 방안을 제시합니다

>> 전문 보기
 

딜로이트 2019 세계 모바일 소비자 조사

Deloitte’s 2019 global mobile consumer survey
(Deloitte Global Report)

| by Simon Dixon 외
Deloitte GB-London/ Head of TMT research

6개 대륙 28개국의 44,150명의 응답자를 대상으로 한 본 설문조사에 따르면, 스마트폰 시장은 성숙기에 다다랐습니다. 스마트폰 판매량에는 변동이 없을 전망이나, 앱과 액세서리에 대한 소비자 지출이 도약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폰 혁명은 아직 끝나지 않았으며 스마트폰 경제는 이제 막 기지개를 펴고 있습니다

>> 전문 보기
 

AI를 이용한 똑똑한 신약 개발

Intelligent drug discovery: Powered by AI

| by Francesca Properzi
Deloitte GB-London/ C&I Industries Manager 

신약 개발은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드는 반면 대체로 성공률은 낮으며 노동집약적입니다. 하지만 AI를 이용한 솔루션이 이를 바꾸고 있으며, 더욱 정밀한 표적 치료의 발전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헬스케어 산업은 더 개인화된 의료기술을 실현할 수 있고 예측이 가능하고 예방적이며 참여적인 미래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 전문 보기

Hot Keyword

공모리츠 전성시대, 상업용 부동산 리츠화가 답!

한국의 리츠는 2001년 외환위기에 따른 기업구조조정 목적으로 처음 도입된 이후, 2014년 서민주거 안정화 정책에 따른 임대주택리츠, 2016년 중산층 주거 안정화 정책에 따른 기업형 임대주택 리츠 등 정부정책의 변화에 따라 기관투자자 위주로 발달해왔습니다. 그 결과 일반투자자들에 의한 2019년 상업용 부동산 리츠의 약진은 시장에 시사하는 바가 크고, 증권사들도 전담조직을 신설·강화하는 등 이른바 ‘공모리츠’의 전성시대가 도래했습니다.


Q: ‘공모리츠’의 성장 잠재력 이유는? 

A: 첫 번째, 지난 4월 정부가 사모리츠·펀드가 보유한 토지에 매겨지던 재산세 분리과세 혜택을 축소(공시지가 기준 세율인상 0.2%→최대 0.4%)하고 공모리츠에는 혜택을 유지하는 세법 개정안을 입법예고했습니다. 따라서 2018년 말 기준 AUM(운용자산) 68조 원에 이르는 비상장리츠가 상장리츠로 전환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며, 그 상장전환율에 따라 리츠시장 규모가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두 번째로 인구 구조와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기업들의 자산유동화 니즈가 존재한다는 점입니다. 특히 온라인 커머스 발전에 따른 리테일 산업 개편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전통적인 리테일 강자들로 분류되던 오프라인 점포 기반 기업들의 자산유동화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전통적으로 리테일의 KSF(Key Success Factor)는 ‘입지-입지-입지’로 꼽을 정도로 리테일과 부동산 자산은 뗄 수 없는 관계로 인식돼 왔으나, 온라인 커머스와 편의점의 성장에 따라 다점포는 ‘수익’보다는 ‘비용’을 유발시키는 경쟁 약화요소로 인식되기 시작하면서 리테일 기업들의 자산매각에 대한 고민이 깊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Q: ‘상업용 부동산의 리츠화’가 리츠의 성장을 이끌 동력인 이유는? 

A: 2018년 말 기준 한국 리츠 전체의 배당수익률은 3.93%이나, 리테일 리츠의 배당수익률은 14.15%에 달하여 리츠 전체 수익률을 올리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의 발표에 따르면 2018년 말 국내 부동산 규모는 1.2경 원, 이 중 순수 상업용 부동산 규모는 894조 원에 달합니다. 이는 현재 전체 리츠 중 약 9.3%의 비중에 불과한 리테일 리츠의 추가적인 시장 유입만으로도 리츠 전체의 수익률 향상을 이룰 수 있음을 암시합니다. 

미국의 경우, 상업시설 개발·운영회사인 Simon Properties, GGP, DDP, Taubman 등이 모두 리츠를 운영하는 것을 보면 상업시설 개발·운영 기업들의 공모리츠를 통한 자산유동화는 글로벌의 큰 흐름이라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상업시설의 도시 집중도가 높은 한국의 경우 리테일 자산과 함께 움직일 수 밖에 없는 복합형 근린생활시설(배당 수익률 6.4%), 호텔&리조트(7.69%), 물류(6.1%) 등 고배당을 보장하는 자산의 다물리츠화가 공모리츠 시장 성장의 핵심요소라 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기업-투자자-정부-시장의 니즈가 모두 절묘하게 맞아 떨어지는 시대적 환경에 따라 향후 부동산과 주식시장 전체에 중요한 변화를 야기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단, 상업용 부동산 리츠화 활성화를 위해서는 리테일 기업 및 증권사들이 리츠 시장을 바라보는 시각 자체를 바꿔야 합니다. 보유하고 있는 자산들 중 비선호 자산, 매각이 어려운 자산들 위주로 리츠를 구성해 끼워팔기 식으로 판매하거나, 리츠 인기를 틈타 블라인드 펀드 등 정보의 비대칭성을 이용해 기업 주도의 투자 수단으로 리츠시장을 바라본다면 투자자들의 냉담한 평가에 마주하게 될 것이 자명합니다. 리츠시장에 대한 근본적인 인식 변화가 없다면, 19년 만에 한국 리츠 시장에 찾아온 일반투자자들에 의한 선순환적 시장 활성화 기회를 놓칠 수 있습니다.

귀하께 도움이 되었습니까?